애드센스 코드 구글 애널리특스 bing 인증 네이버 애널리틱스 사후 피임약 종류와 복용 시간, 72시간 vs 120시간 차이점 총정리
본문 바로가기

임신과 출산 정보/출산 정보

사후 피임약 종류와 복용 시간, 72시간 vs 120시간 차이점 총정리

반응형

성관계 후 피임 실패, 어떤 사후피임약을 언제 먹어야 할까?

피임을 하지 못했거나 실패했을 때 복용하는 사후피임약은
임신 가능성을 낮추기 위한 ‘응급 피임’입니다.
하지만 종류에 따라 복용 가능 시간이 다르고,
효과나 부작용 면에서도 차이가 있으므로
상황에 맞는 선택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72시간과 120시간 기준으로 나뉘는
사후피임약의 차이점을 정리해드립니다.

사후 피임약, 종류는 몇 가지일까?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사후 피임약은
성분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기준 1세대 피임약 2세대 피임약

성분 레보노르게스트렐 울리프리스탈 아세테이트
복용 가능 시간 성관계 후 72시간 이내 성관계 후 120시간 이내
구매 방식 약국 구매 가능 의사 처방 필요
특징 호르몬 함량 높음 배란 억제 효과 높음

1세대 사후 피임약: 72시간 내 복용 필수

레보노르게스트렐 성분의 1세대 사후 피임약은
관계 후 3일(72시간) 이내에 복용해야 합니다.
복용 시점이 빠를수록 성공률이 높으며,
24시간 이내에 복용했을 때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 약은 호르몬 함량이 높기 때문에
일시적인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 메스꺼움
  • 복통
  • 생리 주기 변화 등이 있습니다.

또한 복용 후 2시간 이내 구토가 발생하면
흡수가 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어
재복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세대 사후 피임약: 120시간까지 복용 가능

울리프리스탈 아세테이트 성분의 피임약은
보다 강력한 배란 억제 효과를 가지며
성관계 후 5일(120시간) 이내에 복용이 가능합니다.

시간 여유가 있는 대신
약국에서 구매할 수 없고
산부인과나 여성의학과 진료를 통해
처방전을 받아야 합니다.

이 약은 배란 억제에 강한 효과를 보이지만
이미 배란이 진행된 경우에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는 한계도 있습니다.

시간 경과에 따른 피임 효과 차이

사후 피임약은 복용 시점이 빠를수록 효과가 뛰어납니다.

복용 시점 피임 성공률 (레보노르게스트렐 기준)

24시간 이내 약 95%
48시간 이내 약 85%
72시간 이내 약 58%

울리프리스탈도 시간이 지날수록 효과가 떨어지며,
특히 배란 직전이나 배란 도중에는
피임 실패 확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무작정 복용하면 안 되는 이유

정확한 피임을 위해선 다음 정보를 의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정보 종류 예시

마지막 생리 시작일 2025년 7월 1일
성관계 날짜 2025년 7월 13일
생리 주기 28일 / 30일 등 개인별 주기

이 정보를 바탕으로 의사는
가장 적절한 약을 처방해줄 수 있으며,
불필요한 호르몬 부담을 줄이고
피임 실패 가능성도 낮출 수 있습니다.


반복 복용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사후 피임약은 응급 피임용입니다.
정기적으로 복용해서는 안 되며,
자주 복용할 경우 호르몬 불균형,
생리 주기 변화, 자궁내막 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자주 피임이 필요하다면 다음과 같은
다른 피임 방법으로 전환이 필요합니다.

피임 방식 설명

경구 피임약 매일 복용, 피임 효과 우수
피임 주사 3개월에 1회, 병원 처치 필요
자궁 내 장치(IUD) 장기간 피임 가능, 시술 필요

결론: 내 몸에 맞는 시점과 약 선택이 핵심입니다

사후 피임약은 선택과 복용 시점이 매우 중요합니다.

  • 72시간 이내라면 약국에서도 가능한 1세대 약
  • 5일(120시간) 이내라면 처방이 필요한 2세대 약

무조건 빨리 복용해야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피임 실패 이후에는 가능한 한 빨리
산부인과를 방문해 정확한 상담을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방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