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족구병의 증상은 어떤 순서로 진행될까? 전염성과 잠복기, 예방법까지
아기들이 걸리는 대표적인 여름철 바이러스 질환, 수족구병. 손, 발, 입안에 수포가 생기는 증상으로 시작되는 이 질환은 전염성도 매우 높고 회복 기간 동안 아이와 부모 모두 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특히 고열부터 시작되는 초기 증상은 감기나 다른 질환과 혼동되기 쉬워, 빠른 판단과 대처가 중요한데요. 본 포스팅에서는 아기 수족구의 원인, 증상 순서, 잠복기, 전염성, 치료법, 가려움 완화 방법까지 실제 사례를 토대로 정리해드립니다.
수족구병의 주요 원인과 감염 경로
수족구병은 대부분 콕사키바이러스 A16이나 엔터로바이러스71에 의해 발생합니다.
주로 5세 이하 영유아에게 많이 발생하며, 바이러스는 환자의 침, 콧물, 대변, 수포의 진물 등을 통해 전염됩니다.
물놀이장, 어린이집, 키즈카페 등 집단 접촉이 많은 장소에서 특히 쉽게 감염되며, 한 번 걸렸더라도 재감염 가능성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항목 내용
원인 바이러스 | 콕사키 A16, 엔터로바이러스71 등 |
주요 전염 경로 | 타액, 대변, 수포 진물, 손 접촉 등 |
취약 연령대 | 주로 6개월~5세 미만 영유아 |
아기 수족구 초기증상은 고열로 시작된다
수족구병은 감기처럼 보이는 고열 증상으로 시작되며, 해열제를 먹어도 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열 후 입안, 혀, 목 안쪽에 하얀 수포가 생기며, 아이가 음식을 삼키기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진행일자 주요 증상
1일차 | 38~39도 고열, 해열제 무반응 |
2일차 | 입안 수포 발생, 통증으로 음식 거부 시작 |
3~4일차 | 손발에 수포 발생, 탈수 증세로 입원 필요성 |
이후 | 수포가 터지고 피부 벗겨짐, 가려움 동반 가능 |
수족구병의 전염성과 잠복기, 두 번째 감염도 주의
수족구의 잠복기는 보통 3~6일이며, 증상이 없어도 이미 전염력이 있는 상태일 수 있습니다.
형제나 어린이집 친구 간에 쉽게 옮기기 때문에 한 명이 감염된 경우, 함께 생활하는 가족 모두 위생 관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발병 후 7일까지는 전염력이 높고, 대변을 통한 전파는 2주 이상 지속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항목 설명
잠복기 | 3~6일 |
전염성 지속 | 발열 후 1주일간 가장 높음, 대변은 2주 이상 가능 |
재감염 가능성 | 있음 (다른 바이러스 유형에 의해 반복 감염 가능) |
수족구병은 어떤 순서로 증상이 나타날까?
아기 수족구 증상은 일정한 흐름을 따라 진행됩니다.
- 고열 →
- 입안 수포 및 통증 →
- 손발 수포 →
- 수포 터짐 후 가려움 →
- 피부 벗겨짐
이 과정에서 가장 힘든 시기는 고열과 입안 수포로 인해 음식을 거의 못 먹는 시기이며, 이후 회복되더라도 피부에 각질이 일어나고 벗겨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수족구 전용 약은 없지만, 증상 완화는 가능
수족구는 바이러스 질환이기 때문에 특별한 치료제는 없습니다.
다만 고열을 해소하기 위한 해열제, 통증 완화를 위한 진통제, 탈수를 막기 위한 수액 등이 보조 치료로 사용됩니다.
가려움이나 피부 통증이 심한 경우, 수딩젤을 발라주는 것이 도움이 되며, 2차 감염 방지를 위해 손톱을 짧게 자르고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치료 방법 내용
해열제 | 고열 조절 (이부프로펜, 아세트아미노펜) |
수딩젤 사용 | 피부 수포 가려움 완화 |
수분 섭취 증가 | 탈수 방지 (전해질 보충 음료, 미지근한 물) |
입원 치료 | 탈수 심하거나 경구 섭취 어려운 경우 |
부모가 반드시 알아야 할 예방 수칙
수족구는 백신이 없기 때문에 위생 관리가 가장 중요한 예방법입니다.
- 손 자주 씻기
- 아이 장난감, 식기, 수건 등 따로 사용
- 수족구 유행 시 물놀이장, 키즈카페 자제
- 감염 의심 시 등원, 외출 중지
형제자매 간 감염이 매우 빈번하므로, 첫 감염자 발생 시 가족 전체가 함께 생활 방식을 조절해야 합니다.
#아기수족구 #수족구초기증상 #수족구잠복기 #수족구전염성 #수족구치료법 #육아정보
아기질병정보, 여름철바이러스, 소아과정보, 수족구증상순서, 입원필요질환